공연정보는 공연예매가 이루어져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공연DB로 등록된 공연정보를 제공합니다.
*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은 연계기관에서 공연이 최초 결제한 다음날에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해당 예매데이터 검증 및 공연정보 입력을 진행한 후 공연DB에 업데이트됩니다.
공연통계
2025.08.16 ~ 2025.08.16기준
공연통계는 실제 공연을 진행한 공연일자 기준으로 공연건수, 횟수, 총 티켓판매수, 총티켓판매액과 전일, 전주, 전월 대비로 증감율을 제공합니다. * 7월에 있을 공연이 6월에 티켓 예매를 시작했더라도 선택한 기준일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매일 10시, 15시로 업데이트되며, 공연의 보정처리 등의 사유로 데이터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예매통계는 예매일자 기준으로 시간대별, 가격대별 티켓판매추이(예매율, 취소율 제공)와 해당기간의 티켓취소율 및 전년동기간 대비 증감율을 제공합니다. * 티켓을 예매한 일자 기준으로 공연이 시작되지 않았더라도 통계에 집계가 될 수 있습니다. ** 매일 10시, 15시로 업데이트되며, 공연의 보정처리 등의 사유로 데이터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ISSN 3022-909X (Online)
KOPIS 기준, 올해 상반기 공연시장은 1,070만 매의 티켓예매와 7,414억 원의 티켓판매액을 기록하며 역대 상반기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2021년부터 꾸준히 성장한 수치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0만 매(+7.1%), 977억 원(+15.2%)이 증가한 수치다. 1매당 평균 티켓판매가는 약 6만 9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약 5천 원 상승했다.
대중예술을 제외한 장르(연극, 뮤지컬, 클래식, 국악, 무용, 복합)의 공연건수와 회차는 전체의 75.8%, 86.5%를 기록했으며, 티켓예매수와 티켓판매액은 67.4%, 43.6%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대중예술을 제외한 장르들이 공급(공연건수, 공연회차)과 예매 규모에서는 높은 비중을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고가인 대중예술 공연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