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통계는 실제 공연을 진행한 공연일자 기준으로 공연건수, 횟수, 총 티켓판매수, 총티켓판매액과 전일, 전주, 전월 대비로 증감율을 제공합니다.
* 7월에 있을 공연이 6월에 티켓 예매를 시작했더라도 선택한 기준일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매일 10시, 15시로 업데이트되며, 공연의 보정처리 등의 사유로 데이터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예매통계는 예매일자 기준으로 시간대별, 가격대별 티켓판매추이(예매율, 취소율 제공)와 해당기간의 티켓취소율 및 전년동기간 대비 증감율을 제공합니다.
* 티켓을 예매한 일자 기준으로 공연이 시작되지 않았더라도 통계에 집계가 될 수 있습니다.
** 매일 10시, 15시로 업데이트되며, 공연의 보정처리 등의 사유로 데이터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KOPIS 기준, 올해 1분기 공연시장은 472만매의 티켓예매로 3,249억원의 티켓판매액을 창출하는 역대 최대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2021년부터 꾸준히 성장한 수치로 작년 동기간 대비로는 +13만매(+2.7%), +305억원(+10.4%)증가한 수치입니다. 1매당 평균 티켓판매가는 약 6만 9천원으로 지난해보다 5천원 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중예술을 제외한 장르(연극, 뮤지컬, 클래식, 국악,무용, 복합)의 공연건수 및 공연회차는 전체의 73.7%, 85.7%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티켓예매수와 티켓판매액은 71.6%, 51.7% 비율을 차지하였습니다. 2024년 데이터 기준으로 비교해 볼 때, 1분기 티켓판매액은 다른 분기들과는 달리, 대중예술 제외 장르가 대중예술 장르보다 높은 비중을 보이는 경향을 띠었는데, 올해 1분기 역시 대중예술 제외 장르가 대중예술 장르보다 우수한 티켓판매액 비율을 보였습니다.
매일 업데이트되는 공연관련 뉴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BIG Kinds)
제목
언론사
· 예매상황판은 공연 예매/취소 데이터를 전일 기준까지 반영하여 제공됩니다.
· 데이터 보정 등의 사유로 통계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단, 예매상황판은 초대권을 제외한 유로 티켓 예매를 기준으로 합니다.
※ 집계정보 ※
· 최종집계일시 : 2025.05.23 00:00
· 예매상황판은 공연 예매/취소 데이터를 전일 기준까지 반영하여 제공됩니다.
· 데이터 보정 등의 사유로 통계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단, 예매상황판은 초대권을 제외한 유로 티켓 예매를 기준으로 합니다.
바로가기
{"result":0,"return_object":{"total_hits":50,"documents":[{"news_id":"02100701.20250522150057001","title":"모두의 ‘K-팝’으로 글로벌 메인 스트림 ‘레벨업’ [지속가능 K-컬처]","content":"양적·질적 측면의 K-팝 위기론 \n공연장 부재·전속계약 이슈 손봐야 \n이중잣대 철폐·생태계 불균형 완화 \n\n 방탄소년단의 군 입대전 다이너마이트 공연 영상물. BTS는 오는 6월 모두 제대한다. [MTV 제공]\n \n\n[헤럴드경제\u003d고승희 기자] ‘최고’를 향하던 길에 ‘위기’를 마주했다. 곪은 상처는 하나둘 터져 나왔고, 그간 눈감았던 고질적 병폐는 부메랑이","published_at":"2025-05-22T00:00:00.000+09:00","enveloped_at":"2025-05-22T15:00:57.000+09:00","dateline":"2025-05-22T23:44:37.000+09:00","provider":"헤럴드경제","byline":"고승희","images":"/02100701/2025/05/22/02100701.20250522150057001.01.png\n/02100701/2025/05/22/02100701.20250522150057001.02.jpg","provider_subject":[{"subject_info1":"","subject_info2":"","subject_info3":"","subject_info4":"","subject_info":"01-13-01"}],"provider_news_id":"10493359","publisher_code":"","provider_link_page":"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93359"},{"news_id":"04100158.20250522113941001","title":"올해 1분기 공연 티켓 판매액 3249억원…역대 최대 기록","content":"공연 시장이 2025년 1분기 472만매의 티켓 예매로 3249억원의 티켓판매액을 기록했다. 이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집계한 1분기 매출액 2004억원을 크게 앞서는 수치다.\n\n \n \n \n(재)예술경영지원센터(대표 김장호)는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의 공연예술통합전산망(이하 KOPIS) 예매 데이터를 분석한 ‘2025년 1분기 공연시장","published_at":"2025-05-22T00:00:00.000+09:00","enveloped_at":"2025-05-22T11:39:41.000+09:00","dateline":"2025-05-22T14:15:49.000+09:00","provider":"데일리안","byline":"데일리안 박정선 기자 (composerjs@dailian.co.kr)","images":"/04100158/2025/05/22/04100158.20250522113941001.01.jpeg","provider_subject":[{"subject_info1":"","subject_info2":"","subject_info3":"","subject_info4":"","subject_info":"6"}],"provider_news_id":"1501124","publisher_code":"","provider_link_page":""},{"news_id":"02100351.20250522113935002","title":"연극 무대로 향하는 배우들···\u0027커리어 확장\u0027ㆍ\u0027스타 마케팅\u0027 맞물린 현상","content":"[이투데이] 송석주 기자 (ssp@etoday.co.kr)\n\n 연극시장 1분기 매출액 179억 원…5년 연속 성장세 \n\u0027헤다 가블러\u0027 이영애ㆍ이혜영, 이례적 더블 헤드라인 \n정치적 모순 다룬 \u0027킬링시저\u0027···손호준ㆍ유승호 열연\n\n박하선, 손호준, 유이, 유승호, 이연희, 이영애, 이혜영, 임주환, 전도연 등 스타 배우들이 연극 무대로 향하고 있다. 커리어 ","published_at":"2025-05-22T00:00:00.000+09:00","enveloped_at":"2025-05-22T11:39:35.000+09:00","dateline":"2025-05-22T11:39:35.000+09:00","provider":"이투데이","byline":"송석주","images":"/02100351/2025/05/22/02100351.20250522113935002.01.jpg\n/02100351/2025/05/22/02100351.20250522113935002.02.jpg","provider_subject":[{"subject_info1":"","subject_info2":"","subject_info3":"","subject_info4":"","subject_info":"대중문화"}],"provider_news_id":"2472561","publisher_code":"","provider_link_page":"https://www.etoday.co.kr/news/view/2472561"},{"news_id":"01700101.20250522195431001","title":"\"제주 공연계는 아직도 팬데믹…존립 위협\"","content":"고사 위기에 빠진 소극장을 살리기 위해 행정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n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위원장 고태민)는 21일 제주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제주 민간 소극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n이번 간담회는 도내 소극장의 운영 어려움을 극단과 함께 진단하고, 예술인 창작공간 확보와 지속가능한 공연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원 방안을","published_at":"2025-05-22T00:00:00.000+09:00","enveloped_at":"2025-05-21T19:54:31.000+09:00","dateline":"2025-05-22T20:06:23.000+09:00","provider":"제민일보","byline":"김은수","images":"/01700101/2025/05/22/01700101.20250522195431001.01.jpg","provider_subject":[{"subject_info1":"","subject_info2":"","subject_info3":"","subject_info4":"","subject_info":"교육"}],"provider_news_id":"01700101.20250521109004014","publisher_code":"","provider_link_page":""},{"news_id":"02100601.20250521180342002","title":"수십만원 웃돈 거래…\u0027대학축제 암표\u0027 기승","content":"5월 대학 축제 시즌이 본격화하면서 축제 기간 열리는 대규모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암표 거래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관람 인원이 한정된 데다 인기 아이돌 공연을 보려는 외부인 수요까지 가세하면서 티켓에 수십만원의 웃돈이 붙어 거래되고 있다. \n \n21일 연세대에 따르면 응원단은 학교 축제 ‘아카라카를 온누리에’(아카라카)의 암표 거래를 막기 위해 지난 3","published_at":"2025-05-21T00:00:00.000+09:00","enveloped_at":"2025-05-21T18:03:42.000+09:00","dateline":"2025-05-22T00:42:46.000+09:00","provider":"한국경제","byline":"김다빈","images":"/02100601/2025/05/21/02100601.20250521180342002.01.jpg","provider_news_id":"2025052177461","publisher_code":"2025052177461","provider_link_page":"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2177461"}]}}